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 이후 김정은 시대의 북한 선교는?지금 대한민국과 북한은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에 초점을 맞추어 그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후 북한이 경제발전에 올인 할 경우 북한은 중국이나 베트남처럼 독재정권 하에서 경제적 번영을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우선 문화, 체육, 학술, 경제분야 등에서 협력이 이루어지겠지만, 북한이 종교분야에서의 교류와 개방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그러면, 한국 기독교는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한국교회들은 오랜시간 통일을 위해서 기도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앞두고서는 당황스러워하는 모습입니다. 왜냐하면, 한국교회는 북한정권이 붕괴 되고 남한이 북한을 흡수하는 것을 전제로한 통일을 가장 많이 생각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니엘서에 보면, 느부갓네살 왕이 악몽에 시달릴 때, 술사들이 와서 그 꿈을 해석하고자 한다. 그런데, 느부갓네살 왕은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이야기하지 않는다. 꿈의 내용과 해석 모두를 술사들에게 말하라고 명령한다. 술사들은 왕이 꾼 꿈도 말해주지 않고 그 꿈의 내용과 해석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매우 황당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왕은 그러한 술사들의 태도가 무능력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술사들을 다 죽이라고 명령한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에게도 위기로 다가온 것이었다.다니엘은 왕에게 시간을 조금 달라고 청하고, 왕의 꿈의 내용과 해석을 위해서 기도한다. 그 때, 하나님께서는 다니엘에게 은밀한 환상과 계시를 통해서 왕의 꿈과 해석을 말씀해주신다. 느부갓네살왕은 다니엘이 자신의 꿈을 맞..
컨퍼런스 목적목적: 미주 한인 청년들이 한반도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상상력으로 남북한의 평화와 화해, 통일을 꿈꾸며, 각자의 비전과 전문성으로 서로 연결되어한반도를 향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참여하도록 한다. 컨퍼런스 일정8월 3일 (금) 18:30-21:00 저녁집회 (17:30 부터 등록 후 저녁식사) 8월 4일 (토) 9:00-21:00 컨퍼런스 (선택강의, 북한 친구들 이야기 듣기, 토크 콘서트, 저녁 집회 등이 준비 되어 있으며, 토요일 하루 동안 진행됩니다.)*금요일 저녁식사, 토요일 점심식사, 저녁식사 제공*사전 이벤트로 8월 2일(목) 저녁 7시 씨네토크(영화보기)와 8월 3일 오후 3시 북한출신 친구들과의 만남이 있습니다. 사전 이벤트는 컨퍼런스 등록과 상관 없이..
CONNECT 일일찻집 안내CONNECT 는 미주 지역 한인 청년들이 통일 한반도를 준비하는 가운데, 한인디아스포라의 역할을 함께 고민하면서, 남북한의 젊은이들의 만남과 교제의 시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내년 1월에 진행되는 CONNECT 2기(한국내 체류중인 북한출신 청년들 미주 지역 비전트립)를 위한 기금모금 이벤트로 CONNECT 일일찻집을 준비하였습니다.이번 일일찻집에서는 CONNECT 2기 후원뿐만 아니라 여러분들이 동참(비전트립, 수련회 등 안내 및 참가신청)하실 수 있는 정보들도 나누어 드립니다. 일일찻집은 1월 6일 오후 4시부터 9시까지 한인타운에 위치한 이음카페(3020 Wiltshire Blvd)에서 진행되며, 오후 5시와 오후 7시에는 한반도 이슈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을 소개..
미국에서 밤에 비행기를 타고 이동하다보면, 아무도 없는 운동장에 불빛이 환하게 켜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이 잘 사는 나라이기 때문에 그런 것인지,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인지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입니다. 아래 사진은 우주에서 찍은 한반도 위성사진입니다. 휴전선 위로는 평양에만 불빛이 있고, 북한 전체가 어두운 밤입니다. 북한이 가난한 나라인지, 에너지를 아껴쓰는 나라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왜 북한을 위해서 기도해야 하는가? 북한의 영혼들 때문에 기도해야 하는 것이지요. 우리는 복음을 전해듣고도 반응할 수도, 반응하지 않을 수도 있는 자유가 보장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지만, 북한에 있는 사람들은 복음을 제대로 들을 기회조차도 없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물론 경제 발전을 이룬 나라가 더 복음으로 잘 ..
The Bridge Conference(브릿지 컨퍼런스)를 소개합니다. Washington D.C.에 위치한 International Christian Concern(ICC) 에서는 우리 시대에도 박해받는 교회들에 관심을 가지고 사역하고 있는 단체입니다. 특별히 2017년은 새들백교회와 함께 북한을 주제로하는 The Bridge Conference를 5월에는 Washington D.C에서, 6월에는 Saddleback Church (애너하임 새들백교회) 에서 개최합니다.컨퍼런스는 6월 2일 (금)- 3일 (토), 새들백교회에서 진행되며, 6월 2일 저녁 7시-9시에는 등록절차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예배도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he Bridge Conferenc..
Joseph Kim 은 미국에서 난민으로 살아가고 있는 청년입니다. 오늘날 난민으로, 가족과 나라를 떠나서 살아가야 하는 삶의 이야기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우리에게 일상적인 삶이 누군가에게는 간절히 바라는 삶이기도 합니다. 2013년 TED에서 나눈 조셉의 삶의 이야기를 소개하며, 우리 시대의 아픔이 있는 자리에 여러분의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한글 자막은 영상 아래 주소로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Joseph Kim의 이야기 한글자막은 아래 주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ted.com/talks/joseph_kim_the_family_i_lost_in_north_korea_and_the_family_i_gained?language=ko
오늘날 세계적으로 통일이라는 주제를 가진 민족은 우리 민족 밖에 없습니다. 냉전시대의 이념대립은 이미 끝이 났지만, 아직 우리에게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어릴적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참 많이 불렀습니다. 그런데, 오랜만에 통일에 대해서 생각해 보니,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우리는 통일을 염원하는가? 그냥 남북한이 평화롭게 왕래하면서 지내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 분주한 삶 속에서, 더욱이 미주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조국의 통일은 더욱더 거리가 먼 주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위해서 기도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한 번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1) 미래지향적 관점 - 준비전쟁,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을 경험한 세대에게 분단은 아픔..
Link 영화 상영을 다녀온 이후 미주 한인 젊은이들에게 어떻게하면 한반도 통일과 탈북민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Link의 한인 담당자를 초청해서 교회에서 세미나를 진행해주셨는데, 그 때 몇 명의 청년들이 북한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동안 미주 내의 한인교회에서 진행되는 북한 사역들은 큰 교회들 중심으로 대북지원사업, 탈북자들을 보호, 구출하는 사역, 한반도 평화 통일 기도회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토론토 큰 빛 교회 임현수 목사님은 지금도 북한에 억류되어 계시지만, 지난 20년간 대북지원사업을 위해서 헌신하셨습니다.(임목사님의 조속한 석방을 기도합니다.) 그 외에도 외부에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북한사역을 ..
2014년 겨울에 잠시 사역을 쉬고, 풀러신학교에서 선교학 공부를 하고 있었습니다. 금요일 오후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가려고 하는데, 함께 수업을 들었던 친구 목사님이 오늘 저녁에 학교에서 영화 상영이 있는데, 같이 가자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학교 앞 식당에서 간단히 저녁을 먹고 서둘러 영화를 상영하는 장소로 갔습니다. 무슨 영화냐고 물었더니, 미국에서 북한 사역을 하는 단체인 Link(Liberty in North Korea)에서 만든 다큐멘터리 영화라는 것이었습니다. 내용은 젊은 북한 청년이 북한을 탈출해서 미국으로 와서 정착하는 이야기였는데, 나중에 알게 된 것은 그 청년을 미국으로 데리고 와서 정착하기까지 Link 라는 단체에서 모든 경비와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었습니다. 영화가 마친 후에 불이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