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날 세계적으로 통일이라는 주제를 가진 민족은 우리 민족 밖에 없습니다. 냉전시대의 이념대립은 이미 끝이 났지만, 아직 우리에게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어릴적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참 많이 불렀습니다. 그런데, 오랜만에 통일에 대해서 생각해 보니,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우리는 통일을 염원하는가? 그냥 남북한이 평화롭게 왕래하면서 지내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
분주한 삶 속에서, 더욱이 미주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조국의 통일은 더욱더 거리가 먼 주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을 위해서 기도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한 번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1) 미래지향적 관점 - 준비
전쟁,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을 경험한 세대에게 분단은 아픔이며, 통일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 세대에게 통일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통일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데, 그 중에 한 가지가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통일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한국의 일년 국방비는 38조이며, 지난 10년간 미국산 군장비 구입하는데 36조를 지출하였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한국의 수 많은 젊은이들은 국가를 위해서 젊음을 희생하고 있습니다. 단지 경제적, 정치적 이슈들로만 통일의 문제를 생각해보려는 것은 아니지만, 분단은 분명히 오늘 우리의 삶에 실제적인 영향을 크게 끼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통일은 한반도에서 살아갈 다음 세대에게 소모적 에너지를 미래 지향적인 삶의 에너지로 바꾸어 줄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물론 통일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지만,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통일은 다음 세대에게 새로운 차원의 삶을 준비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또한 지금 당장이라도 북한정부가 무너지고, 통일이 현실화 될 때, 우리는 북한이 남한과 하나의 정부를 수립할 수 있는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70여년 전 분단의 시작도, 강대국들의 결정에 의한 것이었는데, 지금도 강대국들 사이에서 우리의 힘으로 북한과 남한이 자연스럽게 하나가 된다는 것이 보장된 일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과거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다가올 미래에 대해서 철저히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2) 하나님 나라의 관점 - 화해와 회복 (사람의 통일)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일제치하에서 독립하게 되는데, 소련이 일본 군대를 정리한다는 명분으로 남하하게 되고, 이에 당황한 미국이 소련에 38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으로 나누고, 미국은 남한을 소련은 북한을 신탁통치하며, 각자의 이념이 다른 정부를 수립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38선을 기준으로 한반도는 영토가 분단되고, 이념이 다른 정부의 수립으로 체제도 분단됩니다.
이후 1950년 한국 전쟁 때, 남한은 80만명(전체 인구 약 2000만명), 북한은 200만명(전체 인구 약 975만명)의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하면서, 휴전선을 중심으로 남과 북은 큰 상처를 남기고 또 다시 분단된 채로 지금까지 지내고 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발사, 미국의 전략적 사드배치 등의 문제들은 사실 70여년 전의 분단의 아픔이 우리에게 지금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통일을 위해서 기도해야 하는가?
화해와 회복입니다. 기독교에서 화해와 회복은 하나님 나라의 핵심 요소일 뿐만 아니라, 미래를 향한 긍정에너지입니다. 또한 북한의 인권문제와 복음전파는 우리 시대에 하나님 나라를 실제화 시켜갈 수 있는 분명한 이유이기 때문에 통일은 우리에게 시대적 사명으로 이해되어져야 합니다.
사람의 통일입니다. 한반도의 분단된 영토와 체제가 통일을 이루는 것은 하나님의 뜻에 달려 있습니다. 그렇다고 지금 우리가 할 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지금까지 자유를 찾아 남한에 온 탈북자들이 3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남한에서 살아가는 상당수의 탈북자들은 외롭고, 고독한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남한 사람들도 탈북자들을 바라보는 시각도 차갑고, 거리감이 느껴진다고 하는데, 이런 차별과 갈등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일들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외면하지 말아야 할 하나님 나라의 가치들입니다.
우리 민족은 일제식민지에서 독립함으로 우리는 우리를 돌보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며, 신앙의 성장이 일어났습니다. 이처럼 통일은 우리 시대에 하나님 나라를 경험할 수 있는 역사적 사명이며, 미래를 향한 긍정에너지가 됩니다. 미주에서 살아가는 이민자들에게도 조국의 통일은 우리 후손들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기쁘고, 자랑스런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들에게 꿈과 소망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통일을 미래지향적인 관점으로, 하나님 나라의 회복이라는 관점으로 이해할 때, 통일은 오늘 우리가 기도해야 할 이유가 될 것입니다.
'커넥트칼럼(북한사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Bridge Conference -박해받는 교회를 돕는 컨퍼런스 (0) | 2017.05.19 |
---|---|
Joseph Kim's Story (North Korea Refugee) (0) | 2017.05.10 |
ConneCT 키워드 '만남' (0) | 2017.05.03 |
Link(Liberty In North Korea) 영화를 보고.. (0) | 2017.05.02 |
ConneCT 소개 (0) | 2017.03.2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