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정서적 추론(Ecmotional Reasoning)
정서적 추론은 특별한 상황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일반화시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내가 받아들이는 감정에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 대한 결정을 내리게 될 경우 우리는 사실에 입각해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정서적 추론은 인지왜곡(Cognitive Distortion)으로 볼 수 있으며, 감정과 사실을 구별하지 못하고, 정서적 추론은 다른 인지왜곡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상담자들은 인지치료를 위해서 내담자들이 정서적 추론을 통해서 특수한 상황들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고, 방어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서적 추론은 새로운 변화에 대한 강한 저항력이기 때문에 내담자가 감정보다는 사실에 입각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2. 인지왜곡과 관련된 용어들
이분법적 사고: "항상", "절대", "반드시" 와 같은 언어들을 사용해서 사물을 바라봅니다. 이분법적 사고는 극단적인 판단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작은 실수도 인생실패라고 간주하는 경우입니다. 세상에 최고가 아니면, 모든 이들이 실패자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유연한 사고를 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분법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의 특징은 완벽주의자이리 수 있습니다. 문제는 세상에 그런 완벽함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추구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잘하면서도 열등의식을 가질 수 있고, 불만족한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과잉일반화: 어쩌다 한 번 발생한 일이 앞으로 꾸준히 발생할 것처럼 생각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입니다.
극대화: 부정적인 상황을 크게 과장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긍정적인 상황을 작게 볼 수 있는 인지왜곡도 가능합니다.
선택적 추론: 부정적인 것들만을 집중해서 생각하고, 말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행동의 차등 강화(DRO): 행동이 변화를 목표로 하는 행동을 강화시킴으로 나에게 나타나는 부적절한 행동들이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방법입니다.
'상담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행동대처훈련(Coping skills training) (0) | 2020.04.11 |
---|---|
Cognitive Modification (인지치료) (0) | 2020.04.11 |
인간 발달 핵심요소 1 (돌봄) (0) | 2019.07.11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