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 성경적 근거십일조는 일을 통해서 얻은 소득의 십분의 일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십일조 문화는 이스라엘 외에서도 발견되어지는데, 오늘날 세금처럼 군주에게 소득의 1/10을 바치고 바치면, 군주는 백성들의 안정된 삶을 보장해주는 방식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성경에서 십일조는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성경적 근거를 살펴보겠습니다. 십일조의 첫 등장은 창세기 14장에 나옵니다. 아브라함이 그돌라오멜의 동맹군을 격파하고 얻은 전리품들을 살렘 왕 멜기세덱에게 1/10을 주었습니다. 이후 가나안에 정착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섬기는 종교중심 국가로서 이스라엘이 종교적 일에 소홀하지 않도록 성소에서 종교적 행사를 담당하는 레위인들의 삶을 위해서 십일조 제도가 시행됩니다. 그렇게 모아진 십일조..
십일조는 "지금 나의 삶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입니다."라는 신앙 고백에서 시작합니다. 내가 일해서 얻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고백하며, 수입의 십분의 일을 하나님께 드린다는 것은 십분의 일만 하나님의 것이라는 뜻이 아니라, 나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선언하는 신앙 고백인 것입니다. 그래서, 십분의 일을 드림으로 끝이 아닙니다. 나머지 십분의 구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이기에 그 조차도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용하며, 살겠다는 고백이 십일조 신앙에 담겨져 있습니다. 그러면, 오늘날 십일조를 해야하느냐, 하지 않아도 되느냐에 대해서 많은 의견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좀 살펴보려고 합니다. 1.십일조는 의무적 조항이다. 실제로 구약 성경에 십일조가 언급된 구절..
- Total
- Today
- Yesterday